사이트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서울대학교 역사기록물 콘텐츠 < 서울대학교 민주화의 길 1 > http://archives.snu.ac.kr:80/DAS/g.do?gidx=35583

홈 유형 선택

기록이 숨을 쉰다. 서울대학교 기록관 로고서울대학교 기록관

업무 소개

비전 및 발전 계획

비전
기록이 숨을 쉰다.
운영 계획: 2021년-2029년(9년)
1단계: 2021.01.01.-2023.12.31.(3년)
  • 가. 역사연구기록관 건립
  • 나. 교내‧외 역사기록물 수집 및 정리
  • 다. 소장기록물 평가, 중요기록물 복원 처리
  • 라. 기록관리 총괄‧지도‧교육‧지원업무를 통한 대학기록물 관리기관의 업무 수행
  • 마. 기록관리시스템 재구축 및 이용자 서비스
  • 바. 역사연구기록관 운영을 위한 전문 인력 배치
2단계: 2024.01.01.-2026.12.31.(3년)
  • 가. 역사연구기록관 운영 계획 수립
  • 나. 역사연구기록관 수장고 및 장기 보존 처리 시설 조성
  • 다. 역사연구기록관 비전자기록물 수집(이관)계획
  • 라. 서울대학교 기록물관리 업무 지침 수립 및 시행
  • 마. 역사연구기록관 전시실 정규 개관
  • 바. 서울대학교 역사 기초 강좌 및 견학 프로그램 개발
  • 사. 학교사 편찬사업을 위한 자료 수집 및 구술사 프로젝트 지원
3단계: 2027.01.01.-2029.12.31.(3년)
  • 가. 「공공기록물법」에 근거한 영구기록물관리기관으로 기록관 기능 확장
  • 나. 서울대학교의 과거와 현재, 미래가 공존하는 역사문화시설 구축
  • 다. 역사연구기록관 중심의 서울대학교 기록물 관리 및 지식 공유 체계 확립
  • 라. 서울대학교 기록관 디지털 아카이브의 체계화 및 선진화
  • 마. 전시, 교육 체험 프로그램 확대 운영 및 대국민참여행사 개최, 번역서 기획·출간 등 기록문화 확산
  • 바. 서울대기록화 체계 확립 및 소통·협업채널 확대를 위한 네트워크 협력 강화

업무 안내

공공 기록물 관리
  • 기록물분류기준표관리
    서울대학교 분류 기준표 및 처리과코드(GCC) 관리
  • 기록물 이관 및 폐기
    각 처리과에서 생산한 기록물의 이관 및 심사, 평가
  • 기록물 정리·기술 및 보존
    기록물의 원활한 보존·활용을 위한 정리·기술·보존
  • 기록물 디지털화
    구 기록물 DB 및 시청각 기록물의 디지털화
  • 전자문서 관리
    표준기록관리시스템 운영 및 관리
학교사 기록물 관리
  • 학교사 기록 수집
    교수·학생·직원 등 학내 구성원 자료수집, 구술·박물 등 다양한 형태의 자료 수집
  • 학교사 기록 정리
    학교사 기록물의 특성을 반영한 정리·기술·보존
  • 소장자료 디지털화
    학내외 구성원들의 활용 편의를 고려한 디지털화
  • 교내외 행사기록물 수집
    주요 행사 촬영 및 기록 수집
기록물 서비스
  • 기록물 열람
    소장 기록물 공개 및 열람 서비스 제공
  • 서울대 기록연구
    서울대학교 역사 및 기록학 학술지
  • 기록정보콘텐츠
    서울대학교 홈페이지 및 역사기록관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역사 콘텐츠 서비스
정보공개 접수
1. 정보 공개 청구 접수
  • 청구인의 청구
  • 역사기록관 접수
  • 해당부서 이첩
  • 해당부서 정보 공개 여부 결정
  • 정보공개 결정통지 (공개, 부분공개, 비공개)
  • 수수료납부 및 본인 확인
  • 불복시 이의 신청, 행정심판, 행정소송
  • 공개내용 전달
  • 정보공개 결정 불복시 이의 신청, 행정심판, 행정소송
2. 청구 방법
  • 정보공개포털 정보공개청구
  • 이메일 접수
  • 역사기록관 직접 방문
  • 우편 접수: (08826) 서울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75동 105호 행정실
  • 역사기록관 홈페이지 내 정보공개청구
2. 공개방법

열람·시청, 사본·출력물, 전자파일, 복제·인화물, 기타

외부협력
1. 대외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민주화 운동 기록 상호 교류 협정
  • 한국대학기록관협의회
    대학기록관의 협력체제 구축
2. 학내
  • 서울대 중앙도서관
    서울대학교 전자도서관 대학사료 구축
    (협력)
  • 서울대 교수학습개발센터
    서울대학교 디지털 사진 자료관 구축
    (협력)
  • 서울대 기록학전공
    학생 실습 협조 및 공동 프로젝트 진행

역사기록관 현황

전용 공간
구분 면적(㎡) 위치(독립건물 또는 대학 내 동, 호) 비고
전시 공간 766.05 75동 준비중
보존 공간 845.03 75동 준비중
열람 및 사무공간 724.65 75동  
정리/열람실 68.89 150동 B106호  
문서고 133.31 150동 B109호  
제2문서고 66.57 220동 B101D, B105  
제3문서고 233.38 25동 B01~B08-2(6개실)  
합계 2,837.88    
운영 시스템
시스템 명 구축일자 주요 기능 비고
디지털아카이브
(DAS: Digital Archives of Snu)
2010.2.28

기록 관리 업무 중심의 기록관 시스템

  • 대상: 매뉴스크립트, 보존 기록
  • 기능: 레코드 스케쥴 및 프로젝트 구성
    • 리드, 케이스 파일 관리
    • 전거 레코드 및 시소러스
    • 콘텐츠 및 컬렉션 구성
    • 기록물 평가 및 보존
    • 서고 배치 및 가상 서고 지원
    • 오픈 소스 API연동
2022년 기능 개선 사업
표준기록관리시스템
(RMS: Records Managements System)
2023.3.16

공공기록물법에 의거한 기록물 관리 시스템

  • 대상: 공공기록물
  • 기능: 전자기록물 이관 및 폐기
    • 생산현황 보고
    • 분류기준표 관리
    • 구기록물 DB
    • 장기보존포맷(PDF-A)
    • 전자문서생산시스템 내 전자기록물 이관
    • 비공개기록물 재분류
    • 행정박물 및 시청각 기록물 관리
2023년 재구축 사업
맨 위로

전거 레코드
기록 바구니에 추가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