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서울대학교 역사기록물 콘텐츠 < 서울대학교 민주화의 길 1 > http://archives.snu.ac.kr:80/DAS/g.do?gidx=35583

홈 유형 선택

기록이 숨을 쉰다. 서울대학교 기록관 로고서울대학교 기록관

기록물 컬렉션

김리나 기증기록(2024)

김리나 기증기록(2024)

유노상 기증기록(2024)

유노상 기증기록(2024)

조용훈 기증기록(2024)

조용훈 기증기록(2024)

권영자 기증기록(2024)

권영자 기증기록(2024)

황승식 기증기록(2024)

황승식 기증기록(2024)

장직현 기증기록(2024)

장직현 기증기록(2024)

소장 기록물

학위기

학위기

이종숙(李鐘肅, 1910.7.25.생)의 1941년(昭和十六年) 경성제국대학의 제174호 학위기이다. 1941년 11월 26일에 수여하였다. 앞면에 성명과 함께 "右者論文 姙娠腎ノ 腎毒に對スル 態度二就キテノ 實驗的硏究ヲ 提出シテ 學位ヲ 請求シ 本學醫學部敎授會ハ之ヲ授與スへき者卜 認メ夕リ仍テ 大正九年 勅令第二百號 學位令二依リ玆二 醫學博士ノ學位ヲ授ク임신 신장의 신장독에 대한 태도에 관한 실험적 연구를 제출하여 학위를 청구함에 본학의학부교수회는 이를 수여할 자로 인정함에 따라 대정 구년 칙령 제이백호 학위령에 의하여 이에 의학박사의 학위를 수여함" 이라 기재되어 있다.좌측 하단에 전서체로 학교(京城帝國大學) 관인이 날인되어 있으며, 성씨 부분에 '李'라 쓰인 종이가 덧붙여져 있어 창씨개명된 성씨를 가린 것으로 추측된다. 이종숙은 본관이 전주 이씨로, 1937년 경성제국대학 의과대학 병리학 교실(도꾸미쯔 병리)에서 "腎毒이 姙娠腎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문을 발표하였으며, 1941년 학위기를 수여하였다. 당대에는 4개(경의전 병리학교실·세브란스의전 병리·경성제대 도꾸미쯔 병리·경성제대 고스기 병리)의 병리학교실이 학술활동을 하고 있었다.이종숙은 졸업 이후 종로구 장사동 225-1번지에서 산부인과를 개업하였다. 아들은 이량(李亮),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정치학과를 졸업(1964.2.) 후 외무부에서 외교관으로 근무했으며 며느리는 김리나(金理那),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사학과 졸업(1964.2.) 후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에서 교수를 지냈다.경성제국대학은 일제가 경성에 설립한 일제 강점기 종합대학으로서 1920년대 초 전개된 민립대학설립운동을 저지하기 위하여 일제가 1923년 11월 추진하여 설립한 관립대학이었다. 1924년 6월 초기 중등학교 졸업자를 대상으로 한 예과로 출발하였으며, 예과 졸업 후에는 무시험으로 해당 학부 과정으로 자동 진학하도록 하였다. 1926년 3년제 법문학부(법학부/문학부-문학·철학·사학)와 4년제 의학부가 정식 설치되었으며, 이공학부는 중일전쟁 발발 이후 전쟁 수행 기술인력 양성을 위해 1941년에 설치되었다. 1945년 해방과 함께 경성제국대학은 경성대학으로 개편되었다가, 1946년 8월 미군정에 의해 경성대학이 폐교되면서 그 시설은 이후 국립서울대학교로 통합되었다.가로 55 * 세로 38.5김리나 기증

육군 논산훈련소 보병 후반기 훈련병(서울대학교 상과대학 동기생) 단체사진

육군 논산훈련소 보병 후반기 훈련병(서울대학교 상과대학 동기생) 단체사진

육군 논산훈련소 보병 후반기 훈련병(서울대학교 상과대학 동기생) 단체 사진이다. 1961년 7월에 촬영한 사진으로 사진 뒷면에 군 검열 필 고무인이 찍혀있다. 아래 1열 좌측에서 다섯 번째 최정규(상학과), 3열 세 번째 유동길(경제학과), 네 번째 유노상(경제학과), 다섯 번째 사공일(상학과)이다. 기증자에 따르면 당시 군대를 다녀오지 않으면 취직이 안 되던 시절이라 취업 전 4학년 1학기 중 군대에 지원했다고 한다. 그 때문에 지원자가 너무 많아 보결생으로 입대하기도 했다.서울대학교 상과대학은 1899년 상공 학교 이후 경성고등 상업학교, 경성경제전문학교 등 여러 차례 개칭을 거쳐 1946년 서울대학교 상과대학으로 종암동에 설립되었다. 1975년 관악 캠퍼스로 이전하면서 현재의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으로 분리·독립하였고, 경제학과와 무역학과는 사회과학대학으로 편입되었다. 이전 교사에는 현재 서울사대 부설 중고등학교가 위치해있다.가로 12.6 * 세로 10.1유노상 기증

1957년도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경제학과 입학기념 동기생 단체사진

1957년도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경제학과 입학기념 동기생 단체사진

1958년 4월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경제학과 입학 기념 동기생 단체 사진이다. 종암동에 위치한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교사에서 찍은 사진으로 사진 앞열에는 상과대학 경제학과의 유노상, 김태욱, 안승준, 김종태, 뒷열에는 유준학, 이원승, 박성욱, 조만연이다. 안승준은 1958년 상과대학에 입학하여 3학년이었던 1960년 4월 19일 중앙청 앞 시위 중 총상을 입어 사망하였다. 국립 4·19 민주묘지에 안장되어 있다.1958년도 서울대학교 입학식은 입학생 3천여 명을 대상으로 문리과대학 운동장에서 오후 2시에 거행되었다. 당시 새 학기는 4월 1일에 시작하였다. 서울대학교 상과대학은 입학생 320명을 성적순으로 상학과 150명, 경제학과 150명, 무역학과 20명을 선발·조정하였다. 상과대학의 학생 전체 정원은 상학과 600명, 경제학과 600명, 무역학과 80명으로 총 1,280명이었다. (서울대학교 일람 1959-1960) 강의는 상학과, 경제학과, 무역학과가 합동 강의실에서 강의를 수강하였으며, 3학년과 4학년으로 진학하여서는 고급 회계(상학과), 무역론(무역학과) 등 학과별 필수전공을 이수했다. 기증자에 따르면 1957년까지는 상과대학 입학정원이 300명이었으나, 이승만 대통령의 지시로 1958년부터 무역학과 정원 20명이 새로이 배정되었다고 한다.서울대학교 상과대학은 1899년 상공 학교 이후 경성고등 상업학교, 경성경제전문학교 등 여러 차례 개칭을 거쳐 1946년 서울대학교 상과대학으로 종암동에 설립되었다. 1975년 관악 캠퍼스로 이전하면서 현재의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으로 분리 독립하였고, 경제학과와 무역학과는 사회과학대학으로 편입되었다. 이전 교사에는 현재 서울사대 부설 중고등학교가 위치해있다.가로 8.5 * 세로 11.5유노상 기증

'86자동

'86자동

서울대학교 관악사 자동(자棟)에 거주하는 기숙사생들이 추억을 기리기 위해 간행한 잡지이다. 자동지는 1986년 12월 초에 편집을 시작하여 12월 17일 자로 발간되었다. '86 자동 행사 일지, 동비 결산, '86 자동의 얼굴들, 층별 주소록, 편집을 마치는 글과 낙서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발행인은 박철, 편집에는 추원태, 김명수, 강수환, 양용규, 김정환, 이승복, 강찬우, 박영준, 송기동이 참여했다. 1986년 당시 서울대학교 관악사 자동은 1982년 개사한 4층 건물로 정원 약 200명을 수용하는 대학원생(남학생) 기숙사였다. 86년 9월 아시안게임으로 인하여 잠정 폐사하기도 했다. 관악사는 1975년 8월 서울대학교 설치령 제14조에 따라 관악사 5개 동과 후생동 1개 동을 개사한 이후 현재 서울대학교 관악학생생활관으로 이어지고 있다. 총 33쪽이다. 본문의 내용을 바탕으로 구성한 목차는 아래와 같다.-발행사- '자'와 함께한 86년한 해를 보내면서'86년 자동 행사동비 결산'86 자동의 얼굴들'86자동의 뒤안길1층 주소록2층 주소록3층 주소록4층 주소록편집을 마치면서낙서장가로 18.9 * 세로 25.1조용훈 기증

1953-1975 지성과 역동의 시대를 열다
개교 70주년 기념 전시 도록

지성과 역동의 시대를 열다

The Rise of Knowledge and Dynamic Era

원문보기
도약의 나래를 펴라
개교 71주년 기념 전시 도록

도약의 나래를 펴라

Spread Wings, Take the Leap

원문보기

개교 71주년 온라인 전시관 보기

국립 서울대학교 개학 반세기사
서울대학교 개학 120년 기념

개학 반세기사

1895 ~ 1946

원문보기

기록물 기증

기록관에서는 서울대학교 역사와 관련된
기록물의 보존 및 활용을 위하여
교내·외 기록물을 수집하고 있습니다.

기록물 기증 안내 바로가기

02-880-8810 (8819)

the 78 th
anniversary
6 months 9 days
맨 위로

전거 레코드
기록 바구니에 추가되었습니다.